CentOS 부팅디스크 이슈
- warning: Intel Kabylake processor with unknown PCH - this hardware has not undergone upstream testing. 문제
- install 선택 매뉴에서 'e'눌러서 'quiet'를 지우고 'ctrl + x'를 누른다.
- Failed to start switch root 문제
- 부팅디스크 만들 때 win32diskinstaller로 만들어야 해결된다.
CentOS 설치 시 고정아이피 등록방법
- ubuntu /etc/network/interfaces 파일
- 설치시 네트워크 설정방법
선행작업 (모든 노드에서 실행)
- java 8 설치
$ yum list java*jdk-devel
$ yum install java-1.8.0-openjdk-devel.x86_64
- open file 개수
$ ulimit -n 10000
- hostname 설정
$ hostnamectl set-hostname master01
$ hostnamectl status
- cluster hostname 등록
$ vi /etc/hosts
이 파일에 모든 노드를 적어준다.
- ssh 생성
$ ssh-keygen
$ cat ~/.ssh/id_rsa.pub | ssh master01 'cat >> ~/.ssh/authorized_keys' //모든 노드에 대해서 실행해야함
- ntp enable
$ yum install –y ntp
$ systemctl is-enabled ntpd //시스템 boot시 enable 되는지 확인
$ systemctl enable ntpd //boot시 enable로 만듦
$ systemctl start ntpd
- network configuration
$ vi /etc/sysconfig/network
NETWORKING=yes
HOSTNAME=master01
- 방화벽해제
$ systemctl disable firewalld
$ service firewalld stop
- selinux disable
$ setenforce 0
$ vi /etc/selinux/config //영구적으로 하는방법
selinux=disabled
- umask
umask 022는 새로운 파일과 폴더에 읽고쓰고실행하는데에 755권한이 부여된다.
$ echo umask 0022 >> /etc/profile
Ambari-server 설치 (master노드 1대에서만 실행)
- Download repository
$ yum install wget
$ wget -nv http://public-repo-1.hortonworks.com/ambari/centos6/2.x/updates/2.5.1.0/ambari.repo -O /etc/yum.repos.d/ambari.repo
$ yum repolist //리스트 확인
- install
$ yum install ambari-server
- setup
$ ambari-server setup
괄호쳐져 있는 y/n을 선택했다. java의 경우 미리 설치했었지만 혹시나해서 java8로 선택하여 설치했다.
- start
$ ambari-server start
Web 접속
- 8080 포트로 접속 (admin / admin)
- select version
- 아래 사진처럼 해당되는 os 빼고 다 remove 해줘야한다! centos인데 아래 사진 처럼 ubuntu로 했더니 뒤에서 warning 발생...!
- install options
- 설정했던 노드의 hostname을 모두 적어준다.
- ssh key는 cat ~/.ssh/id_rsa 로 복사/붙여넣기하면 된다.
- server setting
- 설치를 원하는 server를 선택하여 설치한다.
- [주의] ambari-metrics는 slave가 아닌 master에 설치되도록 한다!
- zookeeper server 는 3대이상!
- path 확인
- namenode와 datanode와 nodemanager의 path가 /data 폴더로 지정되있는지 확인한다.
- 나머지 비밀번호 설정 뿐!
- 7번참조
ambari-server setup --jdbc-db=mysql --jdbc-driver=/root/mysql-connector-java-5.1.46/mysql-connector-java-5.1.46/mysql-connector-java-5.1.46.jar
- 설치시 오류해결법
- CentOS 7의 경우 기본으로 mariaD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mysql install에서 에러가 났다. 이 경우 직접 mysql을 설치해주자
- root 실행 ($su)
- RPM 파일 다운로드
($yum install http://dev.mysql.com/get/mysql-community-release-el7-5.noarch.rpm) - mysql 패키지 설치
($yum install mysql-community-server) - service 시작
($service mysql start)
- 설치 중 특정 서비스가 설치되지 않는다면, 기존 설치유무 확인 후 삭제 후 재설치를 해본다.
- ex) zookeeper
- 설치 확인 ($yum list installed zookeeper*)
- 기존 서비스 삭제($yum remove zookeeper_2_6_4_0_91-server.noarch)
- 재설치
- hive start fail
- mysql-connector-java.jar due to HTTP error: HTTP Error 404: Not Found
$sudo yum install mysql-connector-java* $cd /var/lib/ambari-server/resources/ $ln -s /usr/share/java/mysql-connector-java.jar mysql-connector-java.jar```
- 이경우 mysql-connector-java.jar의 링커가 잘못 매칭되있어서 발생
- /var/lib/ambari-server/resources 에 mysql-connector-java-5.1.46.jar로 되있는데 뒤에 버전을 빼고 mysql-connector-java.jar 하니까 됨...!
- mysql-connector-java.jar due to HTTP error: HTTP Error 404: Not Found
마무리
- HDFS config
- core-site에서 전부 * 이 되도록 수정
- Hive config
- dynamic partition 옵션을 strict에서 nonstrict로 수정
- 권한 부여
$ vi /etc/group //원하는 서비스에 happyteam 추가
- 계정 생성 (hdfs 계정으로 수행해야함)
- web에서 happyteam 계정 생성하여 다시 로그인
- 폴더 생성 및 권한
$ hadoop fs -mkdir /user/happyteam $ hadoop fs -chmod 777 /user/happyteam
Ambari 2.7 변화...
- hive view 가 없다...
- superset 서비스를 add 해야함!
- add 후 config 에서 database : hive, type : mysql, user : hive
'Apach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] Zookeeper란? (0) | 2019.12.27 |
---|